Eunju Hong is an artist based in Germany and South Korea.
Click the title for more information about each works.
For full video access please write me an email :D
CV
News
Contact
I want to mix my ashes with yours
Solo exhibition @ Gallery 175, Seoul, South Korea
개인전 @ 갤러리175, 서울, 대한민국
“I want to mix my ashes with yours” is a line from an ancient Chinese poem written by a newly married bride. Imagining a distant future where the bride’s bones and flesh are burned and turned to ashes and mixed with the groom’s ashes, imagining eternal love. Are the bride’s vows still valid in the mixed ashes? However, the phrase “mixing the ashes” in this exhibition is not about unchanging love. The artist just try to imagine a scene where all kinds of bodies that surround us - buildings, airplanes, machines, animals, insects - in this city turn to ashes and fly away. Can they mix their ashes with others before they die? Can this question be answered without imaginary conditions?
Human language, animal language, and machine language mimic each other in the exhibition space, throw ridicule, and dream of cracking the world. Even without being burned, they already share the ashes. The first video that greets the audience for the first time among the three video installation tells the story of a world in which humans are born casually, just as fruits grow on trees. The casual conversations of the characters imply a non-linear kinship with no center or periphery. The navels of those who are raised by guardians who may one day be replaced, not by parents, are not one. In the other two videos paired with the first video, two dancers are dancing with a walking stick insect. The movement of a stick insect is like a living branch, or like a newborn baby, or like a clumsy machine. At the same time as stick insects hide themselves by mimicking tree branches, females can reproduce asexually without males, and sometimes they are eaten by birds while incubating eggs and reproduce through bird droppings. The stuttering movements of the walking stick transcend the borders of another world, as it should be; Species distinction, food chain and survival, reproduction and prosperity, sex, extension and disconnection of individual bodies. The two dancers and the two stick bugs delicately but crudely put their bodies against each other, trying to balance each other’s weight as if they were playing tug-of-war.
A large image that is difficult to perceive is placed on the floor of the exhibition hall in front of the video. This image is the result of a clever collaboration betwee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the artist’s consciousness. In the abstract of colors whose boundaries are ambiguous and whose identity is unknown, more distinct shapes rise. These are unnamed shapes that look roughly similar to the nodes of insects, the hairs of mammals, the holes in the face, and the shape of cell membranes. The only representational image is the image of fingers with numbers written on it, which is a crucial clue about the collaborative process. This collage, created using a text-based image generation algorithm, reveals the irony inherent in the operating principle that artificial intelligence cannot help but reproduce the superficial ‘characteristics’ contained in words, while corroding it at the same time. Lastly, at the entrance of the exhibition hall, dust that looks like noise or ash from the virtual world is scattered, as if it had not been tidied up after the party. Opening our ears outside the boundaries of familiar actors may be the first step for us to mix ashes. Just by the entrance door, there is an ellipse hanging, with an engraved sentence. “... From and of all the languages that were spoken and written...”
text by Eunju Hong and Isu Kim Lee
“I want to mix my ashes with yours (나의 재를 너의 재와 섞고싶어)”는 막 결혼을 마친 신부가 쓴 중국 고시(古 詩)의 한 구절이다.[1] 신부는 뼈와 살이 타들어 재가 되어 신랑의 재와 섞이는 먼 미래를 상상하며 영원한 사랑을 다짐한다. 신부의 다짐은 섞인 잿더미 속에서 여전히 유효할까? 그러나 이 전시에서 “재를 섞는다”는 구절은 변함없는사랑에관한것이아니다.다만우리를둘러싸고있는모든종류의몸-이도시에서있는건물들,비행기, 기계, 동물, 곤충 -들이 재가 되어 날아가버리는 장면을 연상해보기로 한다. 저들은 죽음 이전에 다른 이들과 재를 섞을 수 있을까? 가상의 조건을 내걸지 않고도 이 물음에 답할 수 있는가?
인간의 언어, 동물의 언어, 기계의 언어는 전시 공간에서 짐짓 서로를 흉내내고, 조소를 던지기도 하며 세계에 균열을내기를꿈꾼다.불에타지않고도이미저들은재를나눈다.3채널영상설치중처음으로관객을맞이하는 영상은 인간이 마치 열매가 나무에 열리듯 아무렇지 않게 탄생하는 세계의 이야기다. 등장인물들의 무심한 듯한 대화는 중심과 주변이 없는 비선형적 친족관계를 암시한다. 부모가 아닌 언젠가 교체될 수도 있는 보호자들에게 길러지는 이들의 배꼽은 하나가 아니다. 영상과 짝을 이루는 다른 두 영상 안에서는 두명의 댄서가 대벌레와 춤을 추고있다. 대벌레의 움직임은 살아있는 나뭇가지 같기도, 갓 태어난 새끼같기도, 어설픈 기계같기도 하다. 대벌레는 나뭇가지를 의태 하며 몸을 숨기는 동시에 암컷은 수컷 없이도 무성 생식을 할 수 있으며, 때로는 알을 품은채로 새에게 먹혀 새의 배설물을 통해 번식을 하기도 한다. 대벌레의 더듬거리는 움직임들은 당연한 듯 이세계의 경계를 뛰어넘는다; 종의 구분, 먹이사슬과 생존, 재생산과 번영, 성별, 개별적 몸의 연장과 단절. 두명의 댄서와 두 대벌레는 섬세하면서도 투박하게 몸을 맞대며 줄다리기를 하듯 서로의 무게와 균형을 맞추어 본다.
영상 앞 전시장의 바닥에는 쉽게 인지하기 어려운 커다란 이미지가 놓여있다. 이 이미지는 인공지능과 작가의 의식 사이의 교묘한 협업의 결과이다. 경계가 애매하고 무엇인지 알 수 없는 색채들의 추상 안에서 좀 더 뚜렷한 형상들이 고개를 든다. 곤충의 마디, 포유류의 털, 얼굴의 구멍, 세포의 막의 모양과 얼추 비슷해보이면서도 명명할 수 없는 형상들 이다. 유일하게 표상 적인 이미지는 숫자가 쓰여진 손가락의 이미지인데, 이는 협업과정에 관한 결정적 단서이다. 텍스트기반 이미지 생성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만들어진 이 콜라쥬는 인공지능이 단어에 담긴 표면적인 ‘특성’을 재생산 할 수 밖에 없는 작동 원리에 내재되어있는 아이러니를 드러내면서 동시에 부식시킨다.
마지막으로 전시장 입구의 욕조는 기이한 피부를 연상시키는 무언가를 담고 있는데, 몸덩어리의 경계가 완전히 허물어져버린 모습같기도 하다. 욕조 밑에는 파티가 끝난 뒤 미처 정돈되지 못한듯한, 마치 가상세계의 노이즈 또는 재 같아보이는 가루가 흩어져있다. 익숙한 행위주체자들의 경계 밖에 귀를 연다는 것은 우리가 재를 섞는 첫 걸음 일지도 모른다. 마침 출입문 옆에는 어디서 시작해서 어디서 끝나는지 경계를 알 수 없는 “...From and of all the languages that were spoken and written...” 이라는 구문의 타원이 걸려있다.
서문 : 홍은주 , 김이수
Installation view
<Mimesis> two channel video installation
<Five> printed carpet, 2m x 3m
Installation view <Navels>
Installation view <From and of all the languages that were spoken and written>, Aluminium, 19cm x 12cm, 2022
Installation view <I want to mix my ashes with yours>, Installation variable, Aluminium dust, 2022
Installation view, <Warmes Ohr>, Video loop, LED screen, Ceramic, 19 x 12cm, 2022